Health information

납치범을 사랑하게 된 이유? 스톡홀름 증후군 뜻과 실제 사례

디토링 2025. 3. 15.
반응형

스톡홀름 증후군이란 인질이나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동조하고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심리적 현상을 말합니다. 극도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생존 본능이 작용하여 가해자에게 순응하게 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은 단순한 동정심이 아니라 심리적 방어 기제가 작용하는 복잡한 현상으로, 실화 사례 영화, 도서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주제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톡홀름 증후군의 뜻과 증상, 반대 개념, 실제 사례 및 관련 미디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스톡홀름증후군-뜻-증상
스톡홀름증후군 뜻과 증상, 실제 사례

1. 스톡홀름 증후군이란?

스톡홀름 증후군은 인질, 납치 피해자, 학대 피해자, 또는 우사한 상황에 처한 사람이 가해자에게 공감, 정서적 유대감, 때로는 애정까지 느끼는 심리적 반응을 말합니다.

이 용어는 1973년 8월 23일~28일까지 스웨덴 스톡홀름의 크레디트뱅크에서 발생한 인질 사건에서 유래했습니다.

당시 인질로 잡힌 은행 직원들은 6일 동안 무장 강도들과 함께 금고실에 갇혀 있었는데, 석방된 후에도 가해자들을 두려워하기보다 오히려 보호하며 감정적 유대를 형성했습니다. 심지어 한 여성 인질은 나중에 강도 중 한 명과 약혼까지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스톡홀름-증후군스톡홀름-증후군-뜻스톡홀름-증후군-실제-사례
 스톡홀름 증후군


2. 스톡홀름 증후군의 주요 증상

가해자에 대한 긍정적 감정 발달

감사함, 애정, 심지어 사랑의 감정을 느낌, 가해자의 행동에 대한 정당화와 변명

구조 시도나 도움에 대한 거부

경찰, 구조대, 도움을 주려는 사람들에 대한 불신, 구출 시도를 위험하거나 불필요한 것으로 인식

가해자의 관점 수용

가해자의 동기와 행동에 공감, 가해자의 세계관이나 이념을 받아들임

가해자에 대한 방어적 태도

가해자를 외부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려는 행동, 가해자의 행동을 정당화하고 옹호함

자신의 상황에 대한 인식 왜곡

인질/학대 상황을 정상적인 것으로 받아들임, 작은 친절이나 배려를 과대평가


3. 스톡홀름 증후군의 발생 원인

생존 본능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서 스톡홀름 증후군은 생존 전략입니다. 피해자는 가해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해를 덜 입을 수 있다고 무의식적으로 판단합니다.

외상 유대

지속적인 위협과 간헐적인 친절함의 조합은 강력한 감정적 유대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가해자가 보여주는 작은 친절이나 배려가 극단적 상황에서 강화되어 감사함과 애착으로 발전합니다.

인지 부조화 해소

피해자는 자신의 무력한 상황과 정서적 평온을 유지하려는 욕구 사이의 인지 부조화를 해소하기 위해 가해자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권력 불균형의 내면화

극단적인 권력 불균형 상황에서 피해자는 가해자의 관점을 내면화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재구성하게 됩니다.


4. 스톡홀름 증후군의 반대 개념 : 리마 증후군

스톡홀름 증후군의 반대 개념으로 리마 증후군이 있습니다. 이는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정서적으로 동조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리마 증후군은 1996년 페루 리마의 일본 대사관 인질 사건에서 유래했으며, 당시 납치범들이 인질들에게 동정심을 느껴 일부를 석방한 사건입니다.

 

⬇️ 더 자세히 알아보기 ⬇️

 

스톡홀름 증후군의 반대, 리마 증후군의 모든 것 (+실제 사건 사례)

리마 증후군은 인질 상황에서 나타나는 흥미로운 심리적 현상으로, 스톡홀름 증후군의 반대 개념입니다. 이 글에서는 리마 증후군의 정확한 의미부터 증상, 실제 사례, 그리고 관련된 문화적 작

d-travel.tistory.com


5. 스톡홀름 증후군의 실제 사건

스톡홀름 은행 강도 사건 (1973)

이 용어의 기원이 된 사건으로 얀-에릭 올슨이 4명의 은행 직원을 인질로 잡았습니다. 6일 동안 금고실에 갇혀 있던 인질들은 강도들과 감정적 유대를 형성했고, 경찰보다 강도들을 더 신뢰하게 되었습니다.

패티 허스티 사건 (1974)

미국 신문 재벌의 상속녀였던 패티 허스트는 심비오니즈 해방군(SLA)에 의해 납치되었으나, 나중에 자발적으로 그들의 범죄 활동에 가담했습니다. 그녀는 스스로 "탄야"라는 혁명 이름을 사용하며 은행 강도에 참여했습니다.

나타샤 캄푸시 사건 (1998~2006)

오스트리아 소녀 나타샤 캄푸시는 10세 때 납치되어 8년 동안 지하실에 감금되었습니다. 탈출 후 그녀는 가해자에 대한 양가적인 감정을 표현했고, 때로는 그를 방어하는 듯한 발언을 하였습니다.

엘리자베스 스마트 사건 (2002~2003)

14세 소녀 엘리자베스 스마트는 브라이언 데이비드 미첼에게 납치되어 9개월 동안 감금되었습니다. 탈출 기회가 있었음에도 이를 활용하지 않았던 것은 스톡홀름 증후군의 영향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6. 스톡홀름 증후군을 다룬 책과 영화

📚 도서

➢ 스톡홀름 증후군의 심리학 - 인질 상황과 학대 관계에서의 심리적 유대 형성에 대한 심층 분석

➢ 생존자:패티 허스트와 미국의 심리적 환영 - 패티 허스트 사건을 심층적으로 다룬 책

➢ 방 - 감금 상황에서의 모자 관계와 스톡홀름 증후군의 영향을 다룬 소설

➢ 3,096일 - 나타샤 캄푸시가 직접 쓴 자신의 납치 경험 회고록

 

🎬 영화

➢ 방(ROOM) - 에마 도너휴의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 감금 상황에서의 유대 관계를 다룸

➢ 도그 데이 애프터 눈 - 실제 은행 강도 사건을 바탕으로 한 영화

➢ 버팔로'66' - 납치범과 피해자 사이의 복잡한 감정을 탐구한 영화

➢ 분할 - 납치된 소녀들과 해리성 정체성 장애를 가진 납치범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다룬 영화

스톡홀름-증후군-책스톡홀름-증후군-영화스톡홀름-증후군-영화
스톡홀름 증후군을 다룬 책과 영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나도 모르게 조종당하고 있다? 가스라이팅 뜻, 사례, 대처법 A to Z

가스라이팅은 타인의 심리를 조작하여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고, 궁극적으로 가해자에게 의존하도록 만드는 정식적 학대의 한 형태입니다. 가스라이팅은 연인 관계, 가족, 직장, 친구 등 다양

d-travel.tistory.com

반응형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