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은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인해 각종 세균과 바이러스가 번식하기 좋은 시기입니다. 이로 인해 다양한 감염병이 유행하며, 특히 수인성, 식중독성, 피부 감염 등이 증가합니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여름철 감염병 5가지와 그 원인, 증상, 예방법을 상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비브리오 패혈증
원인
바닷물에 서식하는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감염으로 발생합니다. 회, 술, 조개 등 익히지 않은 해산물 섭취 또는 상처 난 피부가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됩니다.
주요 증상
- 고열, 오한, 설사, 복통
- 피부에 홍반과 수포, 괴사 발생
- 쇼크와 다발성 장기 부전 가능 (치사율 50% 이상)
예방법
- 해산물은 반드시 익혀서 섭취
- 상처가 있다면 바닷물 접촉 금지
- 간질환자, 면역 저하자는 회 섭취 피하기
비브리오 패혈증 증상과 예방법, 회 섭취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
비브리오 패혈증은 치사율이 높은 세균성 감염병으로, 주로 여름철 생선을 날것으로 섭취하거나, 상처가 바닷물에 닿을 때 감염됩니다. 증상이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응급 치료
d-travel.tistory.com
식중독
원인
여름철 고온으로 인해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 노로바이러스 등 식중독균이 음식에서 급속히 증식합니다.
주요 증상
- 구토, 설사, 복통
- 발열, 탈수, 두통
- 심할 경우 패혈증으로 진행
예방법
- 음식은 반드시 익혀서 먹기
- 남은 음식은 2시간 이내 냉장보관
- 손 씻기, 조리도구 분리 사용
- 상온 보관된 음식 섭취 금지
겨울철 식중독 '노로바이러스' 증상과 예방법
매년 겨울철, 유행하는 노로바이러스 저도 작년에 여행 가서 잘못 먹은 굴 때문에 며칠을 고생했던 기억이 나네요 😥 미리 예방하고 아프지 맙시다 😷 노로바이러스 특징 일반적인 세균성 식
d-travel.tistory.com
수인성 감염병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콜레라 등)
원인
오염된 물 또는 음식 섭취로 인한 장관 감염병. 여름철 빗물, 침수지역, 위생관리 미흡 지역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
- 고열, 구토, 설사, 심한 탈수
- 복부 통증, 피 섞인 설사
- 장기적인 회복 필요
예방법
- 정수된 물만 마시기
- 위생 불량 지역의 생식 피하기
- 철저한 손 위생 관리
- 음식은 끓이거나 익혀서 먹기
외이도염 (수영장 귀 감염)
원인
수영장, 바닷물 등 오염된 물이 외이도(귓구멍)에 들어가 균이 감염되는 질환
주요 증상
- 귀 통증, 가려움
- 이물감, 귀 먹먹함
- 고름, 발열이 동반되기도 함
예방법
- 수영 후 귀를 깨끗이 건조
- 면봉 사용 자제
- 귀에 상처가 있을 경우 수영 피하기
- 귀가 아프면 즉시 이비인후과 방문
A형 간염
원인
A형 간염 바이러스가 오염된 물, 조개류 등을 통해 경구 감염되며 간에 염증을 유발합니다. 여름철 바닷가나 해산물 섭취 시 증가합니다.
주요 증상
- 피로감, 고열, 구역질
- 황달, 진한 소변, 오른쪽 윗배 통증
- 식욕 저하, 설사
예방법
- A형 간염 백신 접종
- 익히지 않은 해산물 섭취 피하기
- 개인위생 철저 (손 씻기, 물 끓여 마시기)
- 외국 여행 시 위생 상태 확인 필수
여름 감염병 예방 수칙 요약
예방 수칙 | 설명 |
솟 씻기 철저 | 외출 후, 식사 전, 화장실 사용 후 반드시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
해산물 생식 자제 | 회, 굴, 조개류 등은 반드시 익혀서 섭취 |
물 끓여 마시기 | 정수되지 않은 물은 꼭 끓여서 섭취 |
음식 보관은 냉장 필수 | 여름철 상온 보관은 식중독 위험 |
야외 활동 시 상처 관리 주의 | 상처난 피부는 바닷가, 강물에 접촉하지 않기 |
'Health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변 색깔별 건강 신호! 황색, 검은색, 붉은색 대변의 원인과 주의사항 (0) | 2025.04.28 |
---|---|
초록변 원인 총정리, 음식 때문일까? 질병 신호일까? (0) | 2025.04.28 |
비브리오 패혈증 증상과 예방법, 회 섭취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 (0) | 2025.04.27 |
명치 통증 원인과 대처법! 심각한 병의 전조일까? (0) | 2025.04.26 |
메니에르병 완치 가능한가? 증상, 원인, 식이요법까지 (0) | 2025.04.25 |
댓글